퇴직소득세 계산기 이용방법 최신
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약 30년 정도
월급쟁이로 직작생활하며 살아가는데요,
50대 후반, 60대 초반에 정년퇴직 시기가 되면
회사에서 퇴직금을 받기 마련입니다.
그런데 이 퇴직금도 수입의 종류 중 하나라서
세금을 내야하는데요 많지도 않은 퇴직금에서
퇴근을 내려고 하니 많이 아까워요.
그래서 퇴직소득 세율에 따라 퇴직소득세를
미리 계산해보기 원하시는 분은
아래 내용을 참고하셔서 계산해보세요^^
먼저 [ 국세청 ] 사이트에 접속해주세요!
국세청사이트에 접속하신 후
상단 탭메뉴에서 [국세정보]를 선택하신 후
[국세청프로그램]을 선택해주세요!
국세청프로그램 메뉴를 선택하시면
아래와 같이 국세청프로그램을 검색가능한데요,
제목에 [ 퇴직 ] 을 입력하신 후 검색해주세요.
검색결과, 가장 상단에 보이는 2017년 귀속 퇴직소득
세액계산 프로그램(2017.01.17)을 선택해주세요.
그리고 스크롤을 가장 아래로 내려보면
[관련자료 다운로드] 2017퇴직소득 세액계산 프로그램
엑셀파일을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.
다운로드 받으신 엑셀파일을 열어보시면
아래와 같이 퇴직소득세 계산기
프로그램 이용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노란색 시트의 노란색 셀에
관련 정보를 모두 입력하셨다면
퇴직소득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노동의 대가로 받는 월급이 시간이
지날수록 익숙해져서 그런지 모르겠지만
문득 일할 수 있음에 감사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.